1.위치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145-8
2.교통
![]() | ||
|
3.상세 설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언더우드는 한국 선교의 개척자라고 할 수 있는 선교사입니다. 선교 초기 그의 흔적이 묻지 않은 곳이 없을 만큼 그는 한국 교회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양화진 언더우드가의 가족 묘역에는 4대에 걸쳐 모두 7명이 묻혀 있습니다. 언더우드는 1885년 4월 5일 부활절 26세의 나이로 한국에 들어왔습니다. 언더우드는 8살 연상의 릴리아스 호튼과 서울에서 결혼하였는데, 이들은 신혼여행조차 전도여행으로 다녀올 정도로 선교에 대한 열망이 뜨거웠습니다. |
![]() |
![]() |
![]() |
언더우드는 미국으로 돌아가 안식년 기간을 보내는 중에도 강연과 신학교 방문 등을 통해서 직접 후배 선교사들을 한국으로 데려오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에비슨, 무어, 레이놀즈, 테이트, 리 등이 언더우드의 영향으로 한국에 온 선교사들입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한국선교사로 올 수 있었던 것은 언더우드 타자기의 소유자이던 언더우드의 형 (존 토마스 언더우드, John T. Underwood)이 재정을 지원한 덕분이었습니다. |
![]() |
![]() |
![]() |
언더우드는 초대 성경번역위원장을 맡은 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위원장으로서의 그 책임을 다 하였으며, 한국에 오게 될 선교사와 외국인들을 위해서 손수 영한사전, 한영사전, 한국어문법서들을 만들어 직접 출판하기도 하였습니다. |
![]() |
언더우드는 최초의 장로교회인 새문안 교회의 설립자이기도 합니다. 또한 그는 '조선기독교대학'(나중에 세브란스 의대와 합해져서 연세대학교가 됨)를 설립해서 초대학장을 맡는 등 한국 대학교육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
![]() |
언더우드 2세는 아버지를 이어서 조선기독교대학의 3대 교장으로 학교의 발전에 공헌하였고 한국전쟁 중에는 미군민간고문으로 일하였습니다. 그리고 언더우드 3세도 연세대학교의 교수와 이사로 봉직하였습니다. |
4.탐방일자 2011.1.19 수
5.글쓴이 김영도 010-2888-8041
6.생생한 장면
(전철2호선 합정역 7번 출구)
(정면으로 직진하면 한강공원 표지판)
(바로 뒷편에는 절두산 순교성지/양화진 외국인 선교사묘원 표지판)
(좌측 진입로에는 사각정과 도보관광코스 만남의 장소 표지판)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 현판)
(이정표)
(양화진 문화원 아트홀)
(뜻이 깊은 섭리의 한자)
(외국인선교사 묘원)
(한국기독교 100주년 선교기념관)
(한국기독교 100주년 선교기념관 명판) |
'-서울특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특별시 부암동 백석동천 탐방기 (0) | 2012.11.15 |
---|---|
서울특별시 절두산성지 탐방기 (0) | 2012.11.15 |
서울특별시 이화장 탐방기 (0) | 2012.11.15 |
서울특별시 비우당 탐방기 (0) | 2012.11.15 |
서울특별시 환구(원구단,황궁우)단 탐방기 (0) | 201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