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03

경기도 시흥시 영응대군묘 및 신도비 탐방기 그리고 군자봉 산행

1.위치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 659-3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 1434~1467)은 조선 세종의 여덟째 아들로, 문장과 음율, 서화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고 전해진다. 그는 송복원(宋復元)의 딸 대방부부인(帶方府夫人) 여산 송씨(礪山宋氏)와 혼인했으나 세종의 명으로 폐출하고, 정충경(鄭忠敬)의 딸 춘성부부인(春城府夫人) 해주 정씨(海州 鄭氏)와 다시 결혼했다. 하지만 단종 때에는 다시 해주 정씨를 폐출하고 여산 송씨를 받아들였다. 그리고 김영철(金永轍)의 딸인 연성부부인(延城府夫人) 연안 김씨(延安 金氏)와도 혼인했다. 여산 송씨와의 사이에서는 딸만 둘을 낳았으나, 연안 김씨와의 사이에서는 청풍군(淸風君) 이원(李源, 1460∼1..

-경기도 2025.01.01

경기도 오산시 이상재 충신정려문 탐방기

1.위치 오산시 서동 271번지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이상재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부평이다. 1815년에 건립된 1630년(인조 8)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633년(인조 1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되어 저작에 올랐다.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 중국의 사신 학사 강왈광(姜曰廣)이 크게 존경하여 시문을 받아갔는데, 이 시가 『황화집(皇華集)』-조선시대 명나라의 사신과 조선의 원접사(遠接使)가 서로 주고받은 시를 모은 책-에 실려 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는 1636년(인조 14)에 금정도찰방이 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충청도 관찰사 정세규(鄭世規)의 종사관으로 출정하여 인조가 피란한 남한산성을 방어하기 위해 진군하다 용인의 험천(險川:지금의 용인시..

-경기도 2024.11.09

경기도 화성시 남양향교 탐방기

1.위치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글판동길 15번길 18-3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 기록에 따르면 남양향교는 고려시대인 1305년(충렬왕 31년) 또는 조선시대인 1398년(태조 7년)에 지금의 남양고등학교 인근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1873년(고종10)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다.남양향교는 이 지역의 유일한 공공교육기관으로서 지방 학생의 교육을 담당하였다.외삼문을 지나 바로 앞에 위치한 명륜당이 학생들의 교육장이다.명륜당 양쪽에는 기숙사인 동재, 서재가 자리하고 있다. 명륜당 뒤, 내삼문을 지나 위쪽에 위치한 대성전에서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의 성현 7위와 최치원, 설총을 비롯한 우리나라 성현 18현을 모시고 제례와 분향을 올린다.음력 2월과 8월 정(丁)일에 열리는 ‘남양향교 석전..

-경기도 2024.11.02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 탐방기

1.위치 경기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1989년 6월 1일 경기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팽성현(彭城縣) 객사로, 원래는 작은 규모였으나 현종(顯宗) 때 큰 규모로 중창하였고 1760년(영조 36)과 1801년(순조 1)에 중수하였다.현재 대문간채와 9칸의 본채가 남아 있는데 본채의 3칸은 중대청(中大廳), 좌우 각각 3칸은 동헌(東軒)·서헌(西軒)이다. 중대청은 안에 왕을 의미하는 전패(殿牌)를 모시고 고을 수령이 한 달에 두 번 배례(拜禮)를 올리던 곳이다. 굵은 원형 기둥에 초익공(初翼工)으로 얼개를 짓고 동헌·서헌보다 지붕을 높여 격식을 높였다.동헌·서헌은 다른 지방 관리들이 머무르던 숙소이며, 대문간채 중앙에는 솟을지붕으로 된 1칸의 대문이..

-경기도 2024.09.24

경기도 김포시 박신묘역 탐방기

1.위치경기도 김포시 허성면 가금리 산43-1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1385년(우왕 11) 문과에 급제하고 여러 관직을 옮겨 사헌규정(司憲糾正)이 되었다. 이성계(李成桂)가 제군부(諸君府)를 둘 때 중낭장으로서 군부도사를 겸임했으며, 예조·형조의 정랑에 승진되었다.1392년(태조 즉위년)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봉상시소경(奉常寺少卿)이 되었다. 그리고 이듬해 사헌시사(司憲侍史)·교주강릉도안렴사(交州江陵道按廉使)·감문위대장군 겸 사헌중승(監門衛大將軍兼司憲中丞) 등을 역임하였다.1395년 형조도관으로서 공사노비(公私奴婢)에 대해 다른 도감을 두고 새로운 노비문서를 만들어 노비문제에 대한 쟁송을 없애려고 하였다. 1397년 간관(諫官)으로서 변정도감의 속공(屬公: 공노비로 소속됨)한..

-경기도 2023.04.12

경기도 김포시 장릉 탐방기

1.위치경기도 김포시 장릉로 79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조선 제6대 임금인 단종의 능으로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청령포에 유배되었다가 17세에 죽임을 당하여, 그 주검이 동강에 버려졌다. 후환이 두려워 아무도 돌보는 이 없는데 영월호장 엄흥도가 그 시신을 거두어 지금의 장릉에 모셨으며, 이후 숙종때인 1698년에 이르러 단종이 왕으로 복위되고 왕릉으로 정비하면서 묘호를 단종, 능호를 장릉이라 하였다. 장릉 주위의 소나무는 모두 능을 향하여 절을 하듯 굽어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경이로움을 자아내게 한다. 매년 4월 마지막 주말에 단종문화제가 성대하게 거행되며, 특히 조선시대 국장 재현행사는 1천명이 넘는 인원과 49종 275식의 도구가 동원되어 장엄하게 재현된다. 2009년 ..

-경기도 2023.03.02

경기도 시흥시 영모재 탐방기

1.위치경기도 시흥시 능곡길 26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영모재(永慕齋)는 조선 제15대 왕 광해군의 장인인 류자신(柳自新)의 재실(齋室)로 시흥시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이다. 류자신은 본관이 문화(文化)이며 자는 지언(止彦)이다. 1564년(명종 14) 진사시에 입격(入格)한 후 태릉참봉(泰陵參奉)이 되었고, 1579년(선조 12) 형조정랑(刑曹正郞)과 김제군수 등을 지냈다. 1587년(선조 20) 류자신의 셋째 딸이 왕자비가 되니, 이가 곧 광해군의 비(妃) 문성군부인(文城郡夫人) 류씨(柳氏)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임금을 호종(扈從)하였고, 1608년(광해군 즉위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경기도 2022.10.19

경기도 양평군 화서 이항로생가 탐방기

1.위치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화서1로 239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본관은 벽진(碧珍)이고 자(字)는 이술(而述), 호는 화서(華西)이다. 원래 이름은 광로(光老)였으나 조선 제25대 철종(哲宗)이 즉위한 뒤에 피휘(避諱)를 위해 항로(恒老)로 이름을 바꾸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지금의 경기도 양평인 양근군(楊根郡) 출신으로 아버지는 이회장(李晦章)이고, 어머니는 전의 이씨(全義李氏)이다. 부친의 권유로 1808년(순조 8) 한성부(漢城府)에서 실시한 초시(初試)에 합격했으나, 그 뒤로 더 이상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학문에만 매진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조선 말기 위정척사론(衛正斥邪論)을 대표하며 의병운동을 주도했던 최익현(崔益鉉)·김평묵(金平默)·유중교(柳重敎) 등이 모두 ..

-경기도 2021.11.17

경기도 양평군 양근향교 탐방기

1.위치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향교길 45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향교는 유학을 가르치고 인재를 길러 냈던 공립 지방 교육기관으로, 지금의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시나 문장을 짓는 법과 유교의 경전과 역사를 가르쳤고 중국과 조선의 성현(聖賢)에게 제사를 올렸다.양근향교의 정확한 설립 시기는 알 수 없지만 16세기 조선 중종 때 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의 건물은 20세기 초에 새로 고쳐 세운 것으로 보이는데, 이후 변형과 보수가 이루어졌다.건물의 전체 배치는 앞쪽에 교육 공간이 위치하고 뒤쪽에 제사 공간이 자리한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이다. 앞쪽에 위치한 명륜당은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곳이며, 동재·서재는 기숙사이다. 뒤쪽의 대성전과 동무·서무는 중국과 ..

-경기도 2021.11.17

경기도 화성시 정시영고택 탐방기

1.위치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1984년 1월 10일 국가민속문화재 124호로 지정되었다. 나지막한 동산이 둘러 있는 아늑한 터에 남북으로 길게 자리잡고 있는 전형적인 양반가옥이다. 솟을대문에 1887년(고종 24)에 문을 세웠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안채와 사랑채는 이보다 약 50여 년 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평면은 전체적으로 '월자(月字)'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이 정면이 아니라 북쪽 측면으로 나 있어 언뜻 보면 집의 규모가 작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50칸이 넘는 저택이다.대문을 들어서면 사랑마당이 있다. 마당 왼쪽으로 '일자(一字)'형 행랑채가 길게 뻗어 있고 오른쪽으로는 사랑채가 자리잡고 있다. 사랑채는 4칸의 일자형 전후 툇집으로 오른쪽 2칸은 사..

-경기도 2020.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