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33

충청남도 아산시 이간선생 묘소 탐방기

1.위치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 5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 조선조 성리학은 중기를 고비로 사단칠정(四端七情)에 대한 이황(李滉)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과 이이(李珥)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의 대립 이후 치열한 논변이 벌어졌다. 중기에 접어들면서 한동안 잠잠했던 사단칠정 논변이 주리(主理)와 주기(主氣)의 논변으로 이행됨으로써 성리학의 불꽃이 재연되었다. 그것은 주기적인 이이 계통의 기호학파(畿湖學派) 안에서 다시 주리와 주기로 대립하여 논쟁이 일어난 것이다. 이것이 권상하의 문하에서 야기된 이른바 호락논쟁(湖洛論爭)이다.그들은 처음에는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의 오상(五常)을 금수(禽獸)도 가지느냐 못 가지느냐 ..

-충청남도 2019.11.17

충청남도 예산군 일산 이수정 생가 탐방기

1.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서계양리 106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 1849년 건립한 예산일산이수정(一山二水亭)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팔작지붕에 홑처마 민도리 구조로 당시 정자 구조를 잘 알아볼 수 있도록 보존되었고 지방에서는 몇 안되는 강독(講讀) 또는 풍류성 정자로 1923년 현재 신양초등학교가 신양공립보통학교라는 이름으로 개교하던 때 이 정자는 첫 교실로 사용되어 수 많은 후학을 길러낸 역사 깊은 곳이다. 특히 이 정자에 쓰여진 '일산이수정((一山二水亭)' 이란 현판은 추사 김정희 선생이 제주도 귀양에서 풀려난 다음해 이곳에 초대를 받아 4~5일간 머물면서 4일동안에 쓴 글씨로 현판 구도상 일산(一山)을 위아래로 쓰고 이수정(二水亭)을 횡..

-충청남도 2019.10.26

충청남도 예산군 김한종의사 생가 및 기념관 탐방기

1.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신흥리 144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 일제시대 독립운동가 김한종(1883-1921) 의사가 백하 김재정의 아들로 태어난 곳이다. 의사의 본관은 금녕. 호는 일우이다. 태어난 집은 안채. 사랑채로 되어 있었으며 평상시에는 서당으로 사용하기도 하였고 일제시대에는 항일 독립정신을 고취시키는 독립운동의 근거지였다. 4.탐방일자  2019.10.26(토) 5.글쓴이김영도(010-8121-8041) 6.생생한 장면

-충청남도 2019.10.26

충청남도 예산군 최익현선생 묘 및 재실 탐방기

1.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 산 24-1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 이 곳은 조선말기 학자이며 충신이신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선생의 묘이다.최익현선생(1833-1906)은 순조 33년(1833년) 경기도 포천에서 출생하였으며 당시의 대학자 이항로 선생의 문화에 들어가 공부하였으며 조선말기의 거유(巨濡)로서 철종 6년 정시문과(庭時文科)에 오르고 고종 5년(1868년)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때에 궁걸 토목공사로 인한 국민의 부담 가중과 당백전의 발행에 따른 재정의 파탄과 고종 10년(1873년) 대원군 정책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려 대원군이 물러나는 계기를 만들었고 선생도 제주도에 유배되었으며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다음해 6월 ..

-충청남도 2019.10.26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봉수산 순교성지 탐방기

1.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1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이 마을은 예로부터 ‘의좋은 형제’로 유명한 마을이다. 밤에 몰래 서로의 논에 볏단을 건네줬다는 우애 깊은 이성만·이순 형제의 이야기가 담긴 ‘의좋은형제길’을 따라 올라가다보면 또 다른 의좋은 형제를 만날 수 있는 성지가 나온다. 바로 하느님을 향한 신앙을 나누던 의좋은 순교자, 복자 김정득(베드로)과 복자 김광옥(안드레아) 형제를 현양하는 대전교구 대흥봉수산순교성지(전담 윤인규 신부, 충남 예산군 대흥면 의좋은형제길 25–14)다.■ 순교자가 머물던 감옥■성지에 들어서니 전통방식으로 지어진 목조건물이 인상적이다. 기와지붕에 나무와 흙벽으로 이뤄진 익숙한 ..

-충청남도 2019.10.26

충청남도 예산군 흥선대원군의 척화비 탐방기

1.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1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                                                                    흥선대원군의 척화비(斥和碑)    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 (양이침범 배전즉화 주화매국) 서양 오랑캐가 침입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는 것이요,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팔아먹는 것이다. (큰 글자)) -->    戒我萬年子孫 丙寅作 辛未立 (계아만년자손 병인년 신미입) 우리들 만대 자손에게 경고하노라! 병인년에 짓고 신미년에 세운다. (작은 글자)) -->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이 서양 제국주의 세력의 침략을 경계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세..

-충청남도 2019.10.26

충청남도 예산군 화령옹주 태실 탐방기

1.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1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 화령옹주는 13살 때인 1764년(영조 40년) 음력 10월 16일 심정지의 아들 심능건과의 혼인이 결정되었다. 이때 심능건은 청성위에 봉해졌다. 옹주와 심능건은 이 해 음력 12월 20일 가례를 치렀다.한편 화령옹주의 생모 숙의 문씨는 정조 즉위 직후 사도세자를 무고한 것 등으로 인해 사사되었다. 그러나 문씨의 두 딸은 여러 대신들의 탄핵에도 불구하고 정조의 비호 하에서 목숨을 건질 수 있었을 뿐 아니라, 그 작위도 모두 삭탈되지 않았다.한편 1781년(정조 5년) 음력 윤5월 25일에는 남편 심능건이 숙의 문씨의 생전 집을 멋대로 팔고 철거하는 바람에 삭직되었다. 4.탐방일자 ..

-충청남도 2019.10.26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동헌 및 아문 탐방기

1.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1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 조선시대 대흥군의 현청으로서 대흥군 공해조에 의하면 객사(客舍)에는 정청 3칸, 동대청 12칸, 은사정 14칸, 서헌방 16칸, 하마대 4칸이 있었고, 아사에는 구동헌 9칸, 신동헌 16칸, 남상방 4칸, 북상방 5칸, 대청 6칸, 초당 5칸, 행랑 7칸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 관아 내에는 동헌과 그 앞에 [임성아문(任城衙門)]의 현판이 걸린 아문만이 남아 있다. 동헌은 역대 군수들이 집무를 보던 정청으로 정면 6칸, 측면 3칸의 '一'자형 건물로 구조는 4벌대로 높게 쌓은 장대석 기단 위에 전면에는 방형의 초석을, 후면으로는 덤벙주초석을 혼합하여 놓았다. 지붕..

-충청남도 2019.10.26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향교 탐방기

1.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교촌리 538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 향교는 고려말에서 조선초기에 각 지방에 설립된 교육기관으로 대흥향교는 대흥, 광시, 신양, 응봉의 관할 구역으로 문헌으로 전해오는 확실한 유래는 없으나 450여년전인 태종 5년(1405)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진다. 연중 두 차례(봄, 가을)에 걸쳐 초혼관을 지내고 있으며 매월 초하루와 보름(음력)에 봉심(奉審)을 올리고 있다. 대흥향교는 급경사의 구릉지로 전면에는 明倫堂(명륜당)을 후면에는 대성전을 둔 前字後廟(전자후묘)식 배치이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인데 정면 1칸열은 툇간으로 개방하였다. 공포는 전열과2열 기둥상부에 둔 이익공 식이며 架構(가구) 2중보로 된 二高柱(이고주)..

-충청남도 2019.10.26

충청남도 예산군 이성만형제 효제비 탐방기

1.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2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 이 비는 고려초 효자로 이름난 이성만과 이순 형제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대흥면 동서리에 세웠던 것으로 예당저수지가 생겨 수몰될 위기에 놓여 있던 것을 대흥면사무소 앞에 이전시켜 놓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 20 (대흥현조)大興縣條에 보면 大興戶長 이성만과 이순 형제가 모두 지극한 효성으로 부모가 돌아가신 후에도 성만은 어머니 분묘를 순 또한 아버지 분묘를 지켰다. 3년의 복제를 마치고도 아침에는 형이 아우 집으로 가고 저녁에는 동생이 형의 집을 찾았으며 한가지 음식이 생겨도 서로 만나지 않으면 먹지 아니하였다 한다. 또한 이들은 부모가 살아 계실 때에는 맛있는 음식..

-충청남도 2019.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