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33

충청남도 논산시 계백장군유적지 탐방기

1.위치충남 논산시 부적면 신풍리 14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일찍이 사로(仕路)에 나가 벼슬이 달솔(達率:제2품)에 이르렀다. 당시 신라가 한강 유역을 강점함으로써 그때까지의 나제동맹(羅濟同盟)이 결렬되자 백제는 고구려 ·일본 등과 친교를 맺고 신라에 대항하였다. 고립상태에 빠진 신라는 당(唐)나라와 동맹을 맺고 원병을 요청하였다. 당나라 고종(高宗)은 소정방(蘇定方)을 신구도 대총관(神丘道大摠管)으로 임명하여 군사와 함께 바다를 건너 신라를 돕게 하여, 이른바 나당 연합군의 5만 병력이 백제를 치기 시작하였다.이 때 백제의 의자왕은 사치와 연악(宴樂)에 파묻혀 충신들의 훌륭한 작전계획도 물리치고 있다가, 사태가 위급해지자 계백을 장군으로 삼아 적을 막도록 하였다. 계백은 죽기를 각오한 ..

-충청남도 2018.04.23

충청남도 공주시 효자 이기원 정려 탐방기

1.위치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화은리 467-2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효자 이기원(李基遠, 1802~1883)의 행적을 널리 후세에 기리기 위하여 1891년(고종 28)에 명정을 받아 건립한 정려로, 1997년 6월 5일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제19호로 지정되었다. 1945년에 1차 중수하였으며, 1989년 후손들이 뜻을 모아 다시 중수하였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원형의 주춧돌 위에 둥근 기둥을 세웠으며, 사면은 홍살로 처리하였다. 정려 안에는 ‘효자성균진사증조봉대부동몽교관이기원지려(孝子成均進士贈朝奉大夫童蒙敎官李基遠之閭)’라는 명정 현판이 걸려 있고 그 아래에는 현판과 같은 내용이 새겨진 정려비가 있다.이기원은 본관이 전주이며 신기동(새터)에서 태어났다. 성균관 진사로..

-충청남도 2018.03.24

충청남도 천안시 천안향교 탐방기

1.위치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향교3길 5   지번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 190-1 2.교통(갈때,올때)자가용 3.상세설명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1823년(순조 23)에 명륜당을 중수하고 1899년에 풍화루(風化樓)를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고(典祀庫)·풍화루·삼문(三門)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 우리나라 16현(十六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

-충청남도 2018.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