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치
충남 예산군 대흥면 중리길(동서리 84-5)
2.교통
(갈때,올때)자가용
3.코스
느림길(4.6km,소요시간1시간) : 방문자센터 ~ 대흥동헌 ~ 애기폭포 ~ 대흥향교 ~ 이한직가옥
4.상세설명
<이한직가옥>
1987년 12월 30일 충청남도문화재자료 제287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후기 영의정을 역임한 조두순(趙斗淳:1796~1870)이 살았다고 한다. 안채 상량문의 전면에 있는 건물은 정면 6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으로 ㅁ자집이며, 행랑채와 대문이 같은 건물에 조성되었다. 면적은 23.2평이며, 현소유자인 이한직의 이름을 붙였다.
ㅁ자집이지만 팔작지붕의 건물 2동은 각각 ㄱ자형으로 꺾였으며, 처마는 홑처마이며, 각칸에는 좁은 툇마루가 돌려 있다. 본채 중앙에는 마루가 조성되었고, 기단은 가옥 개축 당시 잘 가공된 화강암재로 조성하였으나 주춧돌은 기존의 화강암으로 되었다.
조두순은 1826년(순조 26) 황감제시(黃柑製試)에 장원하여 규장각 대교(奎章閣待敎)를 거쳐 1830년 승지를 지내고, 1834년 대사성에 승진, 다음해 동지부사로 청에 다녀왔다. 1849년(철종 즉위) 《헌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후 1858년 좌의정에 올랐으며, 1862년 삼정이정청(三政釐整廳)의 총재관으로 삼정 개혁에 주력하고, 조대비와 흥선대원군의 두터운 신임을 얻어 국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864년(고종 1) 《철종실록》 편찬 총재관이 되고, 이듬해 영의정에 올라 삼군부(三軍府)를 부활시켰으며, 경복궁 영건도감(營建都監)의 도제조를 겸하였다. 흥선대원군의 명으로 천주교 탄압에 앞장섰다. 문집에 《심암유고(心庵遺稿)》가 있다.
5.탐방일자
2019.12.13(금)
6.글쓴이
김영도(010-8121-8041)
7.생생한 장면
'-충청남도 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슬로시티 느린꼬부랑길 제3코스 사랑길(방문자센터~원두막, 완결편) (0) | 2019.12.16 |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슬로시티 느린꼬부랑길 제1코스 옛이야깃길(방문자센터~달팽이미술관) (0) | 2019.12.16 |
충청남도 아산시 천년의숲 제4구간 긴골재길(송남휴개소~송남휴개소, 완결편) (0) | 2019.12.01 |
충청남도 아산시 천년의숲 제3구간 긴골재길(송남휴개소~배골마을) (0) | 2019.12.01 |
충청남도 아산시 천년의숲 제2구간 봉곡사솔바람길(오돌개마을~봉곡사주차장) (0) | 2019.11.17 |